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

상지대학교 제약바이오전공

상상하는 모든 것을 이룰수 있는 대학

학생중심의 민주주의대학 상지대학교

서브비쥬얼 이미지

공지사항

2025학년도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및 교과과정 안내

작성자김윤희  조회수507 등록일2025-03-04

제약바이오전공 졸업이수 학점표 : 2016학번 ~ 2025학번

 

2025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제약바이오전공(보건계열)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 필수

교양 선택

학부

(계열)

기초

계열

공통

단일전공

복수전공

(필수포함)

디지털

문해

(필수)

자유학예

(필수)

체험소양

선택

전공

탐색

(필수)

소계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웰니스인간-자기발견(D)

4

3

9

12

2

30

6

6

11

55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 

2024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제약바이오전공(보건계열)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 필수

교양 선택

학부

(계열)

기초

계열

공통

단일전공

복수전공

(필수포함)

디지털

문해

(필수)

자유학예

(필수)

체험소양

선택

전공

탐색

(필수)

소계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웰니스인간-자기발견(D)

4

3

9

12

2

30

6

6

11

55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 

2023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제약바이오전공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 필수

교양 선택

학부

(계열)

기초

계열

공통

단일전공

복수전공

(필수포함)

기초융합교육

(필수)

교양교육

(필수)

선택

전공탐색(필수)

소계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9

12

2

30

6

6

11

55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 

★★★(2025~2023학년도 신입생 적용)

계열별로 모집하는 학과는 계열공통 6학점 필수(계열기초 + 계열공통의 합은 12학점 이내 편성)

디지털문예 : 한의대, 보건의료대, 미래라이프대, 생명대, 공과대 필수 지정(교양교과 최저 졸업이수학점표() 참조)

자유학예 및 체험소양의 웰니스인간_자기발견(D)”: 4개 영역에서 영역별 각 3학점 총 9학점 이수

 

 

2022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제약바이오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 필수

교양 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계열공통

단일전공

복수전공

(필수포함)

선택

중점역량

(필수)

전공탐색

(필수)

전공필수

전공선택

4

23

3

2

6

6

11

55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
2021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

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필수

중점역량

(필수)

교양

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23

6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- 제약공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필수

중점역량

(필수)

교양

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23

9

11

55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 

2020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

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필수

중점역량

(필수)

교양

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23

6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- 제약공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필수

중점역량

(필수)

교양

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23

9

11

55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 

2019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

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필수

중점역량

(필수)

교양

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19

6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- 제약공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필수

중점역량

(필수)

교양

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19

9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 


2018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

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필수

중점역량

(필수)

교양

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19

6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- 제약공학과

교양 학점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필수

중점역량

(필수)

교양

선택

학부(계열)

기초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4

3

19

9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 

2017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

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
교양 학점

학부(계열)

기초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선택

대학특성화

기초(폐지)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26

-

6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- 제약공학과

교양 학점

학부(계열)

기초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교양

선택

대학특성화

기초(폐지)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26

-

9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 

2016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

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
교양학점

(대학특성화기초학점포함)

대학특성화

기초

학부(계열)

기초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26

8

6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- 제약공학과

교양학점

(대학특성화기초학점포함)

대학특성화

기초

학부(계열)

기초

전공 학점

교직

부전공

일반선택

(타과

전공과목)

합 계

단일 전공

복수

전공

전공

필수

전공

선택

26

8

9

12

54

66

36

-

(21)

잔여학점

130


정밀화학신소재학과/제약공학과로 입학한(2021학번까지 적용) 학생들은 본인 입학 기준 년도의 졸업이수학점표를 보고 졸업학점을 채워야 하며, 아래에 적힌 2025학년도 1학기 수강편람에 작성된 교과과정 개편에 따른 경과조치 내용을 참고하여 수강신청할 수 있도록 한다. 아래 가-2.에 따르면 수업이 없어져 지정된 이수학점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수하지 않아도 된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3. 교과과정 개편에 따른 경과조치

이수구분별 이수학점은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.

. 공통사항

1) 모든 학생은 입학연도의 교육과정 적용을 원칙으로 하되, 전공 교과과정(2-4학년 적용)의 경우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재학당시 해당 학년에 적용된 전공 교과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. (전공 교과과정의 경우 교육과정 운영에 효율성 확보를 위하여 일원화 운영을 원칙으로 하나, 모집단위 변경 등에 의거 일원화 운영이 불가한 학과()의 경우에는 이원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.) , 기이수한 학년도 학기에 대하여는 종전 교과과정에 의거 종전 이수구분 및 학점을 적용한다.

2) 입학연도에 적용받았던 교양필수, 계열(학부)기초, 계열공통, 전공필수가 교육과정 개편으로 축소되어 이수할 수 없는 경우(추가로 이수할 과목이 없어 지정된 이수학점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함)에는 이수하지 않아도 된다. , 반대로 확대된 경우에는 현재기준과 입학년도 기준을 비교하여 적은 학점을 적용할 수 있다.

3) 각 학과(/전공)에서 개설한 교양선택 과목 중 소속 학부 및 학과(/전공) 및 수강제한이 있는 과목은 소속 학생 및 수강제한이 있는 학과는 수강할 수 없다.(복수전공자 및 부전공자 포함)

4) 재이수할 과목(동일 과목 또는 대체 과목)의 이수구분 및 학점이 변경된 경우 이수구분은 종전 이수구분을 적용하고 학점은 현재의 학점을 적용한다.

5) 교과목 명칭이 동일(교과목명, 학점 및 과목코드가 동일)하거나, 대체과목(명칭변경)으로 지정한 과목은 추가로 이수할 수 없다.

6) 교육과정 개편으로 교과목이 폐지된 경우에는 대체과목을 지정받아 재수강할 수 있다. , 지정된 대체과목을 이미 이수한 경우 재수강 할 수 없다.

7) 전공 총학점 및 총합계는 하향 조정될 수 없으므로 전공필수 학점 미달 시 전공선택으로 전공 총학점을 이수하고, 총 학점은 전공선택, 교양학점 및 일반선택으로 총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.

8) 입학 당시 소속 학과의 전공필수 과목이 모집단위 통()합으로 인해 더 이상 편성되지 않을 경우,해당 전공필수 과목을 이수하지 않아도 되며, 전공 총 학점을 이수하여 졸업요건을 충족해야 한다.

W3C(HTML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