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생중심의 민주주의대학 상지대학교
제약바이오전공 졸업이수 학점표 : 2016학번 ~ 2025학번
2025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– 제약바이오전공(보건계열)
교양 학점 |
전공 학점 |
교직 |
부전공 |
일반선택 (타과 전공과목) |
합 계 |
|||||||||||
교양 필수 |
교양 선택 |
학부 (계열) 기초 |
계열 공통 |
단일전공 |
복수전공 (필수포함) |
|||||||||||
디지털 문해 (필수) |
자유학예 (필수) |
체험소양 |
선택 |
전공 탐색 (필수) |
소계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
||||||||
웰니스인간-자기발견(D) |
||||||||||||||||
4 |
3 |
9 |
12 |
2 |
30 |
6 |
6 |
11 |
55 |
66 |
36 |
- |
(21) |
잔여학점 |
130 |
2024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– 제약바이오전공(보건계열)
교양 학점 |
전공 학점 |
교직 |
부전공 |
일반선택 (타과 전공과목) |
합 계 |
|||||||||||
교양 필수 |
교양 선택 |
학부 (계열) 기초 |
계열 공통 |
단일전공 |
복수전공 (필수포함) |
|||||||||||
디지털 문해 (필수) |
자유학예 (필수) |
체험소양 |
선택 |
전공 탐색 (필수) |
소계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
||||||||
웰니스인간-자기발견(D) |
||||||||||||||||
4 |
3 |
9 |
12 |
2 |
30 |
6 |
6 |
11 |
55 |
66 |
36 |
- |
(21) |
잔여학점 |
130 |
2023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제약바이오전공
교양 학점 |
전공 학점 |
교직 |
부전공 |
일반선택 (타과 전공과목) |
합 계 |
||||||||||
교양 필수 |
교양 선택 |
학부 (계열) 기초 |
계열 공통 |
단일전공 |
복수전공 (필수포함) |
||||||||||
기초융합교육 (필수) |
교양교육 (필수) |
선택 |
전공탐색(필수) |
소계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
||||||||
4 |
3 |
9 |
12 |
2 |
30 |
6 |
6 |
11 |
55 |
66 |
36 |
- |
(21) |
잔여학점 |
130 |
★★★(2025~2023학년도 신입생 적용)
※ 계열별로 모집하는 학과는 계열공통 6학점 필수(계열기초 + 계열공통의 합은 12학점 이내 편성)
※ 디지털문예 : 한의대, 보건의료대, 미래라이프대, 생명대, 공과대 필수 지정(교양교과 최저 졸업이수학점표(안) 참조)
※ 자유학예 및 체험소양의 “웰니스인간_자기발견(D)”: 4개 영역에서 영역별 각 3학점 총 9학점 이수
2022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제약바이오학과
교양 학점 |
전공 학점 |
교직 |
부전공 |
일반선택 (타과 전공과목) |
합 계 |
||||||||
교양 필수 |
교양 선택 |
학부(계열) 기초 |
계열공통 |
단일전공 |
복수전공 (필수포함) |
||||||||
선택 |
중점역량 (필수) |
전공탐색 (필수) |
전공필수 |
전공선택 |
계 |
||||||||
4 |
23 |
3 |
2 |
6 |
6 |
11 |
55 |
66 |
36 |
- |
(21) |
잔여학점 |
130 |
2021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- 제약공학과
|
2020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- 제약공학과
|
2019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- 제약공학과
|
2018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- 제약공학과
|
2017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- 제약공학과
|
2016학년도 신입생 기준 졸업이수학점표 - 정밀화학신소재학과
- 제약공학과
|
※ 정밀화학신소재학과/제약공학과로 입학한(2021학번까지 적용) 학생들은 본인 입학 기준 년도의 졸업이수학점표를 보고 졸업학점을 채워야 하며, 아래에 적힌 2025학년도 1학기 수강편람에 작성된 교과과정 개편에 따른 경과조치 내용을 참고하여 수강신청할 수 있도록 한다. 아래 가-2.에 따르면 수업이 없어져 지정된 이수학점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수하지 않아도 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3. 교과과정 개편에 따른 경과조치
□ 이수구분별 이수학점은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.
가. 공통사항
1) 모든 학생은 입학연도의 교육과정 적용을 원칙으로 하되, 전공 교과과정(2-4학년 적용)의 경우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재학당시 해당 학년에 적용된 전공 교과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. (전공 교과과정의 경우 교육과정 운영에 효율성 확보를 위하여 일원화 운영을 원칙으로 하나, 모집단위 변경 등에 의거 일원화 운영이 불가한 학과(부)의 경우에는 이원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.) 단, 기이수한 학년도 학기에 대하여는 종전 교과과정에 의거 종전 이수구분 및 학점을 적용한다.
2) 입학연도에 적용받았던 교양필수, 계열(학부)기초, 계열공통, 전공필수가 교육과정 개편으로 축소되어 이수할 수 없는 경우(추가로 이수할 과목이 없어 지정된 이수학점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함)에는 이수하지 않아도 된다. 단, 반대로 확대된 경우에는 현재기준과 입학년도 기준을 비교하여 적은 학점을 적용할 수 있다.
3) 각 학과(부/전공)에서 개설한 교양선택 과목 중 소속 학부 및 학과(부/전공) 및 수강제한이 있는 과목은 소속 학생 및 수강제한이 있는 학과는 수강할 수 없다.(복수전공자 및 부전공자 포함)
4) 재이수할 과목(동일 과목 또는 대체 과목)의 이수구분 및 학점이 변경된 경우 이수구분은 종전 이수구분을 적용하고 학점은 현재의 학점을 적용한다.
5) 교과목 명칭이 동일(교과목명, 학점 및 과목코드가 동일)하거나, 대체과목(명칭변경)으로 지정한 과목은 추가로 이수할 수 없다.
6) 교육과정 개편으로 교과목이 폐지된 경우에는 대체과목을 지정받아 재수강할 수 있다. 단, 지정된 대체과목을 이미 이수한 경우 재수강 할 수 없다.
7) 전공 총학점 및 총합계는 하향 조정될 수 없으므로 전공필수 학점 미달 시 전공선택으로 전공 총학점을 이수하고, 총 학점은 전공선택, 교양학점 및 일반선택으로 총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.
8) 입학 당시 소속 학과의 전공필수 과목이 모집단위 통(페)합으로 인해 더 이상 편성되지 않을 경우,해당 전공필수 과목을 이수하지 않아도 되며, 전공 총 학점을 이수하여 졸업요건을 충족해야 한다.